티스토리 뷰

  불설요치병경.hwp

 

 

 

불설요치병경(佛說療痔病經)

 

대당삼장의정봉 제역

大唐三藏義淨奉 制譯

 

1. 여시아문. 如是我聞

2. 일시, 박가범재왕사대성죽림원중, 여대필추중오백인구

    一時, 薄伽梵在王舍大城竹林園中, 與大苾芻眾五百人俱

 

3. , 유중다필추신환치병, 형체리수, 통고영전, 어일야중, 극수우뇌,

   구수아난타견시사이, 예세존소, 정례쌍족, 재일면립, 백언세존

   ”금왕사성다유필추, 신환치병, 형체리수, 통고영전, 어일야중, 극수우뇌

    세존! 차제치병, 운하구료?”

   時, 有眾多苾芻身患痔病, 形體羸瘦, 痛苦縈纏, 於日夜中, 極受憂惱, 具壽阿難陀見是事已, 詣世尊所,

   頂禮雙足, 在一面立, 白言世尊

   ”今王舍城多有苾芻, 身患痔病, 形體羸瘦, 痛苦縈纏, 於日夜中, 極受憂惱世尊! 此諸痔病, 云何救療?”

 

4. 불고아난타여가청차요치병경, 독송수지, 계심물망, 역어타인, 광위선설차제치병, 실득제차

   소위풍치·열치·음치·삼합치·혈치·복중치·비내치·치치·설치·안치·이치·정치·수족치·

   척배치·시치·변신지절소생제치, 여시치루, 실개건조·타락·소멸, 필차무의개응송지여시신주

   佛告阿難陀汝可聽此療痔病經, 讀誦受持, 繫心勿忘, 亦於他人, 廣為宣說此諸痔病, 悉得除差

   所謂風痔·熱痔·癊痔·三合痔·血痔·腹中痔·鼻內痔·齒痔·舌痔·眼痔·耳痔·頂痔·手足痔·脊背痔·屎痔·遍身支

   節所生諸痔, 如是痔瘻, 悉皆乾燥·墮落·消滅, 畢差無疑皆應誦持如是神呪

 

5. 즉설주왈即說呪曰

6. 다냐타 아래몌 시리 시리 마아시디 삼마뎨도 사바하

    “怛姪他 揭賴米 室利 室利 魔揭室至 三磨[*]都 莎訶

 

 

7. 차주(단장운)此呪(丹藏云)

8. 다냐타 알란뎨 알람몌 시리볘 시리시리 마갈시지 삼바바도 사바하

    “怛姪他 頞闌帝 頞藍謎 室利鞞 室里室里 磨羯失質 三婆跋覩 莎訶

 

9. 아난타! 어차북방, 유대설산왕중유대사라수, 명왈난승유삼종화일자초생, 이자원만, 삼자건고

    유여피화, 건조락시, 아제치병역부여시물부혈출, 역물농류, 영제고통,

   실개건조우부약상송차경자, 득숙주지, 능억과거칠생지사, 주법성취사바하

   “阿難陀! 於此北方, 有大雪山王中有大莎羅樹, 名曰難勝有三種華一者初生, 二者圓滿, 三者乾枯

    猶如彼華, 乾燥落時, 我諸痔病亦復如是勿復血出, 亦勿膿流, 永除苦痛, 悉皆乾燥又復若常誦此經者, 

    得宿住智, 能憶過去七生之事, 呪法成就莎訶

 

10. 우설주왈又說呪曰

11. 다냐타 점몌 점몌샤점몌 점마니샤점니 사바하怛姪他 占米占米捨占米 占沒儞捨占泥 莎訶

 

12. 불설시경이, , 구수아난타급제대중, 개대환희, 신수봉행

     佛說是經已, , 具壽阿難陀及諸大眾, 皆大歡喜, 信受奉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치병을 고치는 경

 

당나라 삼장 의정이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옮기다.

 

 

1. 이렇게 저는 들었습니다.

2. 언젠가 박가범께서는 왕사대성의 죽림원에 큰 필추의 무리 5백인과 더불어 계셨습니다.

 

3. 그 때 많은 필추가 치병을 앓는 바람에 몸이 지쳐서 여위고 고통에 휩싸여

    밤낮으로 더할 나위 없이 괴로워하였습니다.

    그때 구수 아난타는 이런 상황을 보고 나서는 세존의 처소로 가서 두 발에 머리가 닿도록 푸

    절하고 한 쪽에 선 채로 세존께 말씀 드렸습니다.

    “지금 왕사성의 많은 필추가 치병을 앓는 바람에 몸이 지쳐서 여위고 고통에 휩싸여

    밤낮으로 더할 나위 없이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모든 치병은 어떻게 고칩니까?”

 

4. 부처님께서 아난타에게 가르쳐주셨습니다.

    “그대는 마땅히 이 치병을 고치는 경을 듣고는 독송하여 기억하고

    마음에 붙들어 매서 잊지 말 것이며, 또한 남에게 널리 알려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치병은 모조리 치료되어 나을 것입니다.

    이른바 풍치·열치·음치·삼합치·혈치·복중치·비내치·치치·설치·안치·이치·정치·수족치·척배치·시치

    그리고 온 몸의 뼈마디에 생기는 모든 치병 등등,

    이러한 혹 덩어리가 모조리 다 마르고 떨어져 사라져서 마침내 틀림없이 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두 응당 이러한 신묘한 주문을 소리 내서 외워야 합니다.

 

5. 부처님께서는 곧 주문을 말씀해 주셨습니다.

6. “다냐타 아래몌 시리 시리 마아시디 삼마뎨도 사바하

 

7. 이 주문은 단장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8. “다냐타 알란뎨 알람몌 시리볘 시리시리 마갈시지 삼바바도 사바하

 

9. “아난타여! 여기서 북쪽에 대설산왕이 있습니다.

     거기에는 큰 사라수가 있는데, 이름을 난승이라고 합니다. 그 나무에는 세 종류의 꽃이 있습니다.

     첫째는 갓 핀 것이고, 둘째는 활짝 핀 것이며, 셋째는 말라서 시든 것입니다.

     마치 그 꽃이 말라서 떨어질 때와 같이 내가 말한 모든 치병 역시 그렇게 될 것입니다.

     다시는 피가 나오는 일이 없을뿐더러 고름이 흐르는 일도 없고

     고통이 영원히 제거되어 모조리 다 말라버릴 것입니다.

     또한 만약 이 경을 늘 독송한다면 숙주지를 얻어 과거 일곱 생의 일을 기억해내고

     주법이 완성될 것입니다. 사바하.”

 

10. 부처님께서는 또 주문을 말씀해 주셨습니다.

11. “다냐타 점몌 점몌샤점몌 점마니샤점니 사바하

 

12.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시고 나자,

     그 때 구수 아난타와 모든 대중은 다 크게 기뻐하며 믿고 받아들여 받들어 실천하였습니다.

 

 

 

-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무외시 공덕회 http://cafe.naver.com/wuweishi108 -

출처 : 상민이의 불교 자료실, 법보시
글쓴이 : 상민 원글보기
메모 :

'경전 > 기타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아함경 제33권 927 우바새경  (0) 2017.04.30
허공잉보살경  (0) 2017.01.22
허공장보살신주경  (0) 2017.01.22
허공장보살경  (0) 2017.01.22
잡아함경 제4권 91 울사가경  (0) 2015.03.1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